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국민연금 개념과 더 많이 받을 수 있는 방법 BEST5 총정리

by story pil 2024. 3. 1.
반응형

 

 

직장을 다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월급을 받으면서 착실히 꼬박꼬박 국민연금 보험료를 일정 부분 납부 하였습니다. 노년에 일을 하지 않아도 매달 연금을 받으면서 살아갈 수 있는 국민연금! 관련 제도를 잘 알고 활용하면 더 많은 연금을 받을 수 있다고 하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국민연근 개념과 국민연금 더 많이 받을 수 있는 방법 BEST 5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국민연금 더 많이 받을 수 있는 방법 BEST5
국민연금 더 많이 받을 수 있는 방법 BEST5

 

국민연금공단 바로가기

 

국민연금  함께 나누고 함께 누려요

 

www.nps.or.kr

목차
국민연금 개념
국민연금 더 많이 받을 수 있는 방법 BEST5
BEST1 - 국민연금 추가, 추후 납부
BEST2 - 국민연금 반환일시금 반납하기
BEST3 - 국민연금 연기신청
BEST4 - 국민연금 임의가입
BEST5 - 국민연금 임의계속가입
마무리

국민연금 개념

 

 

국민연금은 돈을 벌거나 직장에 다디는 만 18세 이상 60세 미만의 국민은 누구나 의무가입 대상인 장기 보험입니다. 가입된 사람은 누구나 매달 소득의 9%를 의무적으로 내야 합니다. 10년 넘게 120개월 보험료를 내면 국민연금 받을 수 있는 조건이 성립하면서 만 62세부터 사망 시까지 매달 국민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사업장가입자는 본인과 회사가 국민연금 보험료를 절반씩 부담하고, 지역가입자는 본인이 전액을 납부합니다. 국민연금 수령액은 가입 기간과 가입 기간 중 평균 소득, 가입자 전체의 평균 소득에 따라 정해지는데, 가입 기간 중 달라진 화폐 가치도 반영된다고 합니다.

 

국민연금공단 바로가기

 

국민연금  함께 나누고 함께 누려요

 

www.nps.or.kr

국민연금 더 많이 받은 수 있는 방법 BEST 5

 

BEST1 –  국민연금 추가, 추후 납부

추납은 국민연금을 내다가 중간에 내지 못한 국민연금 보험료가 있다면 나중에 납부할 수 있는 조건이 성립할 때 납부 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예로 출산, 육아, 군복무 등이나 직장을 그만둬 전업주부가 되었거나, 또는 실직, 휴직 등으로 국민연금 보험료를 납부할 수 없는 경우에도 나중에 조건이 성립할 때 납부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추납은 당사자가 원하면 아무 때나 납부를 신청할 수 있고, 추납을 신청하면 매달 원래 내는 보험료에 추납 할 기간을 곱한 금액을 합산해서 납부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이번달에 원래 국민연금 보험료가 20만 원이고 과거에 내지 못한 보험료가 10개월이라면 원래 보험료 20만 원과 내지 못한 보험료 200만 원 합산해서 220만 원 납부하면, 나중에 납부한 보험료 대비 2배 넘는 금액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BEST2국민연금 반환일시금 반납하기

 

나이가 60세가 넘었거나 직장을 더 이상 다닐 수 없는 여러 가지 사항에서 국민연금에 더 이상 가입할 수 없는데 가입 기간 10년을 채우지 못하면 그동안 납부한 보험료에 약간의 이자가 붙어 반환일시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데요.

 

의무 가입 연령 상한선인 60세가 돼었거나 해외 이민이나 국적상실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다시 반환일시금을 반납하면 10년 채우지 못한 가입 기간을 되살릴 수 있습니다. 받아 갔던 반납일시금에 이자를 더해서 납부하면 과거의 높은 소득대체율이 적용되어 나중에 국민연금을 더 많이 받을 수 있습니다.

BEST3국민연금 연기신청

국민연금 받을 시기를 늦춰 국민연금 금액을 더 늘릴 수도 있습니다. 그렇게 하면 달마다 연금액이 매달 0.6%씩 더해지는데요. 1년이면 7.2% 연금액을 더 받을 수 있고, 최장기간 5년을 채우면 연금액을 36% 더 불릴 수 있습니다. 연금을 받을 수 있는 나이가 됐지만 여전히 소득이 높다면 이 제도를 활용하는 것도 좋을 듯싶습니다. 연금 수령 연령부터 5년 동안 횟수 제한 없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

BEST4국민연금 임의가입

 

가입 대상이 아니지만, 본인이 원하면 가입해서 국민연금 보험료를 내는 것을 임의가입이라고 합니다. 이처럼 국민연금 보험료를 낼 필요가 없어도 원하면 보험료를 내서 기간을 늘리는 방법이 있고, 예를 들어 소득이 없는 전업주부도 노후를 대비하기 위해 임의가입을 해둘 필요가 있습니다. 만 18세를 넘겼지만 아직 소득이 없는 학생도 임의가입이 가능합니다.

BEST5국민연금 임의계속가입

국민연금 임의계속가입은 만 60세가 된 이후에도 국민연금 보험료를 내면 그만큼 더 많은 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만 65세까지 낼 수 있고, 퇴직 후 연금 수령 연령까지 기간이 남았거나 국민연금에 가입한 기간이 10년이 안 된다면 꼭 임의계속가입을 가입하는 것이 연금액을 더 많이 받는 방법입니다.

 

국민연금공단 바로가기

 

국민연금  함께 나누고 함께 누려요

 

www.nps.or.kr

마무리

노후에 의식주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생활비는 251만 원이라고 합니다. 여행, 취미생활과 여가 활동까지 즐기면서 생활하려면 매달 369만 원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그만큼 젊을 때부터 노후 대비책을 잘 준비해야 노후가 편한 하다고 생각합니다. 오늘 알려드린 국민연금 개념과  더 많이 받을 수 있는 방법 BEST5가 평생 월급 든든하게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글

 

국민연금 2023년 수령나이 및 예상수령액 얼마일까?

국민연금 수령나이는 출생연도별로 지급됩니다. 출생연도별로 현행 61세~65세로 구분되어 지급되고 있습니다. 단, 5년 이내에서 1년 단위로 조절도 가능한데요, 나의 국민연금 수령나이는 어떻게

suanjp2067.tistory.com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글

 

기초연금 국민연금 인상 기초연금 단독가구 213만원, 부부 가구 340만8000원

올해 기초연금의 선정기준액이 상향 조정되어 65세 이상 1인 가구의 경우 월 소득이 213만 원 이하일 때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보건복지부는 2024년도의 기초연금 선정기준액을 단

suanjp2067.tistory.com